logo of markmoa.com 마크모아

상표권 등록, 내 지갑에 부담은? 비용 한눈에 보기

상표권 등록은 내 브랜드를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그러나 많은 분이 "과연 비용이 얼마나 들까?"라는 궁금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특허청에 납부해야 하는 공식 비용을 중심으로, 상표 등록 절차에 소요되는 주요 비용을 명확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상표 등록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요 비용

상표 등록 절차는 출원, 심사, 등록으로 나뉘며, 각 단계에서 다음과 같은 비용이 발생합니다. 이 비용은 특허청에 직접 또는 변리사를 통해 납부해야 하며, 변리사 수수료와는 별도로 책정됩니다.

  1. 출원료

    상표 등록 신청 시 납부하는 비용으로, 지정한 상품류의 개수에 따라 금액이 달라집니다. (괄호 안은 고시되지 않은 명칭을 포함하여 출원)

    • 전자출원 시: 상품류 구분마다 46,000원 (52,000원)
    • 서면출원 시: 상품류 구분마다 56,000원 (62,000원)
    • 지정상품 가산금: 1상품류 구분의 지정상품이 10개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하는 지정상품마다 2,000원이 추가됩니다.

    예를 들어, 전자출원으로 2개의 상품류를 지정한다면, 46,000원 × 2 = 92,000원이 필요합니다.

  2. 설정등록료

    심사를 통과한 상표를 최종적으로 등록할 때 납부하는 비용입니다.

    • 상품류 구분마다: 201,000원
    • 지정상품 가산금: 1상품류 구분의 지정상품이 10개를 초과할 경우, 초과된 상품 1개당 2,000원 추가
    • 다만, 2회 분할납부 시 매회 122,000원과 지정상품 가산금(초과 지정상품마다 1,000원)이 부과됩니다.
  3. 지방세

    등록료 이외에 부과되는 지방세: 9,120원

    • 등록세: 7,600원, 지방교육세: 1,520원
    • 2회 분할납부 시에는 1회차 납부 시에 지방세 전액을 납부해야 합니다.
    • 부과대상: 상표권 설정 시, 존속기간 갱신등록 시

추가적인 비용 요소

  1. 우선심사 신청료
    상표 심사는 일반적으로 약 12개월 이상 소요되지만, 우선심사 제도를 이용하면 약 3개월로 단축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1상품류 구분마다 추가로 160,000원의 우선심사 신청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2. 대리인 수수료
    변리사 등 대리인을 통해 상표 등록 절차를 진행하면, 별도의 대리인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특히, 변리사 사무소에서 홍보하는 '저렴한 비용'은 대부분 특허청에 납부해야 할 공식 비용을 제외한 금액입니다. 대리인에게 의뢰할 경우, 특허청 납부 비용에 추가로 대리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는 점을 반드시 염두에 두세요.

비용 절감 팁

  1. 전자출원 활용
    전자출원을 이용하면 서면출원보다 출원료가 저렴하며, 절차도 간소화됩니다.
  2. 지정 상품 최소화
    실제 사용할 상품만 지정하면 가산금을 줄일 수 있어 비용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3. 사전 검색 철저
    특허청의 키프리스(KIPRIS) 시스템을 통해 유사 상표를 미리 검색하면 거절 가능성을 줄일 수 있어, 추가 비용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상표 등록 비용 예시

단일 상품류 기준 비용 예시

항목 고시명칭만 사용 고시되지 않은 명칭 포함
출원료(전자출원) 46,000원 52,000원
설정등록료 201,000원
지방세(등록세+지방교육세) 9,120원
합계 256,120원 262,120원

※ 상품이 10개 이하인 경우 기준입니다.

다수 상품류 기준 비용 예시 (3개 상품류)

항목 고시명칭만 사용 고시되지 않은 명칭 포함
출원료(전자출원) 138,000원
(46,000원 × 3)
156,000원
(52,000원 × 3)
설정등록료 603,000원
(201,000원 × 3)
지방세(등록세+지방교육세) 9,120원
합계 750,120원 768,120원

※ 각 상품류에 상품이 10개 이하인 경우 기준입니다.

지정상품 초과 시 비용 예시 (1개 상품류, 20개 지정상품)

항목 고시명칭만 사용 고시되지 않은 명칭 포함
출원료(전자출원) 66,000원
(46,000원 + 가산금 20,000원)
72,000원
(52,000원 + 가산금 20,000원)
설정등록료 221,000원
(201,000원 + 가산금 20,000원)
지방세(등록세+지방교육세) 9,120원
합계 296,120원 302,120원

※ 지정상품이 10개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 지정상품마다 2,000원이 가산됩니다.
(20개 지정상품 = 10개 초과 × 2,000원 = 20,000원 가산)


마무리

특허청에 납부해야 하는 상표 등록 비용은 출원료와 설정등록료가 주를 이루며, 우선심사를 신청하거나 상품류가 많아질 경우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변리사 대리 비용은 별도로 발생하며, 변리사 웹사이트에서 광고하는 저렴한 금액은 특허청 납부 비용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자세한 비용 정보는 특허청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 수수료 금액은 2023년 8월 1일 기준, 특허로 홈페이지에서 제공된 데이터입니다.